즐겨찾기+ 최종편집:2024-09-04 오전 10:22: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사회일반

포항시 ˝주소갖기운동 시민혈세. 행정력낭비. 졸속정책 비판 높아져˝

- 포항시 인구 또 다시 50만 붕괴 위기 직면 -
- 지난해 전입지원금 등에 40여억 원 시민혈세 사용 -
- 이강덕 포항시정 출범 1년 5개월 뒤부터 내리막길 -
- 미봉책이 아닌 일자리 창출 등 근본대책 마련해야 -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22년 03월 21일
↑↑ 포항시청 전경
ⓒ CBN뉴스 - 포항
[cbn뉴스=이재영 기자] 포항시 인구가 올 들어 2개월 연속 곤두박질하면서 또 다시 50만 붕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부터 포항시가 역량을 집중했던 '주소갖기운동과 전입지원금지원' 등에 수십 억 원의 시민혈세는 물론 행정력 낭비만 초래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포항시 인구는 지난 2015년 11월 주민등록기준 52만16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 지난해 1월 50만2천736명으로 50만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가자 '포항사랑 주소갖기운동' 캠페인에 나서 전입지원금과 기관단체 실적지원금 등 예산 40여억 원을 사용하는 등 이에 행정력을 집중해왔다.

이에 포항시는 지난해 연말 인구가 전년(2020년) 연말 50만2천916명에 비해 655명이 증가하는 성과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20년) 인구감소분 대비 5천500여 명의 인구증가 효과가 발생, 포항사랑 주소갖기운동이 주소이전지원금과 병행 추진해 단기적인 인구 상승효과를 유도하고 51만 인구회복의 기반을 마련했다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하지만 포항시 인구는 올 1월말 기준 50만3천404명으로 지난해 12월말 50만3천852명보다 448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데, 이어 2월말에는 50만2천704명으로 전달보다 700명이 대폭 감소했다. 이는 주소갖기운동의 시발이 된 2020년 12월말의 50만2천916명보다 더 적은 수치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14년 7월 이강덕 포항시정 출범한지 불과 1년 5개월여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인구가 50만 붕괴 위기에 직면하면서 주소갖기운동과 함께 추진했던 주소이전지원금이 지난해 연말로 종료되자 인구가 다시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결과적으로 예산낭비만 초래했다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인구문제는 그 효과와 한계가 분명한 주소갖기운동과 같은 캠페인과 일시적인 전입지원금으로 해결될 문제가 결코 아니다. 그런 미봉책이 아니라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 역내·외 기업들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해 일자리를 늘려나가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으로 이에 대한 포항시의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대해 포항시민 A씨는 "인구문제의 제일 중요한 것은 수도권의 인구를 포항시로 이동시키기 위해 일자리를 만들고 포항에서 일할 수 있는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며 "그런데 포항시는 기업유치하는데 주민들의 민원발생 눈치를 너무 많이 보는거 같다. 심지어 포항은 기업하기 힘든 도시라는 낙인이 찍혀져 있고 투자기피지역이라는 오명을 듣고 있다"라고 말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포항시지부 자유게시판에는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에 동원되는 직원들의 불만이 가득하다.

댓글을 보면 "직원들이 홍보하러 돌아다니고 아이디어 낸다고 인구가 늘어난다면 이미 늘었겠지 숨은 인구수 찾아내는 것도 아니고", "지겨워 죽겠다. 맨날 보고하고 아이디어 내라하고, 직원들 닥달하면 인구가 알아서 늘어나나...애들 10명을 낳을수도 없고", "50만 갈랑갈랑의 포항시 최고 책임자는 누굴까, 50만 우려가 하루 이틀전에 생긴것도 아닌데", "진심 현수막들고 나가서 흔들고 가족지인 탈탈 긁어모아 인구수 좀 오르니 신나서 더 쥐어짜는데...어쩌나 이제 약발 다 떨어졌다" 등의 글들이 올라와 있다.

한편 포항지역 만 29세 이하 청년 인구는 지난해 11월 기준 전체 인구의 15.8%인 7만9천358명이며 최근 들어 순유출을 보이고 있다.

특히 포항지역 청년고용률은 2019년 41.2%를 유지해왔으나 코로나19 영향 탓도 있겠지만 지난해 32.1%로 급락한 뒤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청년실업률 또한 2018년 4.8% 수준에서 지난해 16.2%까지 껑충 뛰어올라, 11%대 수준인 경북 평균보다 5%정도 웃도는 실정이다.
이재영 기자 / youngl5566@naver.com입력 : 2022년 03월 21일
- Copyrights ⓒCBN뉴스 - 포항.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